티스토리 뷰
차에 타면 뭐부터 하나요?? 스마트폰을 먼저 충전시키진 않으신가요? 차에서 충전을 하면 무료일까요? 아니면 유료일까요? 배터리를 사용할까요? 기름을 사용할까요?? 집에서 충전하는 것과 어느 정도로 차이가 날까요?
스마트폰을 차에서 충전하면 요금은 얼마??
차가 움직이고 있을 때에는 발전기가 돌아가면서 배터리를 충전시켜 주기 때문에 차에서 배터리를 충전하면 공짜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전혀 그렇지 않고 오히려 연비에 악영향을 줍니다.
미국의 제너럴 모터스(GM)는 자동차에서 스마트폰 1대를 충전할 때 소비되는 기름은 휘발유 1리터 당 12.7m를 주행하는 것과 같은 에너지를 소비한다고 발표했었습니다.
집에서 충전하는 것과 차에서 충전하는 것의 차이
집에서 충전하는 스마트폰과 차에서 충전하는 스마트폰의 비용은 어떻게 될까요??
한 시간 동안 자동차에서 스마트폰을 충전할 경우 약 60원(1달러당 1100원 / 1리터당 1500원 기준)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반면 집에서 충전할 경우 0.9원(200 kWh이하 88.3원 기준)의 비용이 발생하죠. 이 차이는 대략 66.6배의 차이를 보입니다.
제너럴모터스(GM)에서는 자동차에 연결된 스마트폰을 완전히 충전하는데 약 4.8W가 필요하며 이것은 휘발유 1L에 해당하는 양이라고 했습니다. 휘발유 1 리터면 상황에 따라 40km 정도 움직일 수 있고 최근 2021년 기준 셀프주유소에서 충전할 경우 1400~1600원 사이로 휘발유 가격이 측정되는 만큼 적지 않은 비용이 발생합니다.
차에서 충전하면 이산화탄소 증가
스마트폰을 자동차에서 충전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비용 늘고 연비가 줄어드는 것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커져서 환경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가정 충전에 비해서 차에서 충전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2배가량 많기 때문에 지구를 아프게 하죠.
최근의 차들에는 소비자들의 구매력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전자식 패널과 계기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들은 배터리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연비를 줄이기 도하죠.
차를 살 때는 유지비와 함께 연비를 고려해서 구매하지만 정작 이런 작은 부분들은 신경 쓰지 못하고 있기도 합니다. 스마트폰을 충전하지 않더라도 이미 충분히 많은 기름을 흘리고 있는 거죠.
배터리가 정말 얼마 남지 않은 상황이 아니라면 자동차에서 스마트폰을 충전할 필요가 있을까요??
이동 중에 충전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면 미리 집에서 작은 보조배터리를 준비하는 것은 어떨까요??
당장은 보조배터리를 구매하는 비용이 발생하겠지만 다양한 판촉물로 나오기도 하며 용량이 적은 보조배터리의 경우 가격이 얼마 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 중에 충전하는데 매우 유용합니다.
대용량 배터리의 경우 무겁기도 하고 잘 안 들고 다니기도 하기 때문에 작고 가벼운 적당한 용량의 배터리를 조금씩 집에서 충전하고 다니는 것이 환경에도 더 이롭고 연비도 늘릴 수 있는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